
자료구조 자료구조(Data Structure)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조작하기 위한 방법을 정의하는 방법론입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의 집합을 다루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실행 시간, 메모리 사용량 등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자료구조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눈데, 첫 번째는 선형 자료구조(Linear Data Structure)로, 데이터가 일렬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자료구조에는 배열(Array), 연결 리스트(Linked List), 스택(Stack), 큐(Queue) 등이 있습니다. 두 번째는 비선형 자료구조(Nonlinear Data Structure)로, 데이터가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자료구조에는 트리(T..
HTTPS HTTPS는 HTTP Secure의 약자로, HTTP 프로토콜을 보안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높입니다 HTTPS는 SSL(Secure Sockets Layer) 또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이를 통해, 중간에 HTTP 요청 및 응답을 탈취해도 기밀성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 방식 데이터를 암호화를 할 때에는 암호화할 때 사용할 키, 암호화한 것을 해석(복호화)할 때 사용할 키가 따로 필요합니다. 이때 암호화와 복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가 동일하다면 대칭 키 암호화 방식, 다르다면 공개 키(비대칭 키) 암호화 방식이라고 합니다. 1. 대칭 키 암호화 방식 대칭 키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와 ..

HTTP HTTP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에 통신하는 데 사용됩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웹 페이지를 요청하면, 서버가 그에 대한 응답을 보내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HTTP/1.1, HTTP/2는 TCP 기반이며 HTTP/3는 UDP 기반 프로토콜입니다. HTTP의 특징 1.무상태성(Stateless) HTTP는 Stateless 프로토콜로,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이전 요청과는 상관없이 각각의 독립적으로 처리됩니다. 따라서 서버는 이전 상태를 기억하지 않아도 되며, 클라이언트는 필요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요청을 보내야 합니다. 무상태성은 응답서버를 쉽게 바꿀 수 있기에 무한한 서버증설이 가능합니다. 이 때문에 갑자기 사용자가 몰리면 서버를 쉽게 대거..

네트워크 계층 모델은 크게 OSI 7계층 모델과 TCP/IP 4계층으로 나뉩니다. OSI 7계층 모델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 모델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네트워크 모델로, 네트워크 통신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정의합니다. OSI 7계층 모델의 목적은 표준화를 통하여 포트, 프로토콜의 호환 문제를 해결하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일을 해당 계층 모델을 이용해 쉽게 설명하는 것입니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것이 물리적인 문제인지,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는지 등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범위를 좁혀 문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1. 물리적 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물리적 매체(유선, 무선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