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글에서 이어서 진행하여 설명하겠습니다.2024.05.24 - [개발/리눅스] - 리눅스 - 파일 시스템 VFS 1(superblock, inode) 리눅스 - 파일 시스템 VFS 1(superblock,inode)2024.05.23 - [분류 전체보기] - 리눅스 - 모든 것은 파일이다 리눅스 - 모든 것은 파일이다리눅스를 배울 때 한번쯤은 듣는 말이 "리눅스의 모든 것은 파일"이라는 것이다.필자도 듣기로는 자주 들lhs9602.tistory.com file우리가 코드에서 파일을 읽고 쓸 때는, fopen() 함수를 통해 struct file 구조체에 파일을 할당합니다.이때, VFS에서 사용하는 file과 struct file 구조체는 같습니다.여기서 file은 전체 파일을 가리키는 게 아닌, ..

2024.05.23 - [분류 전체보기] - 리눅스 - 모든 것은 파일이다 리눅스 - 모든 것은 파일이다리눅스를 배울 때 한번쯤은 듣는 말이 "리눅스의 모든 것은 파일"이라는 것이다.필자도 듣기로는 자주 들었지만, 실제로 어떤 의미인지는 잘 와닫지 않았다.그냥 "리눅스에서 파일이 자주 쓰인lhs9602.tistory.com 이전 글에서 리눅스의 모든 것은 파일이다 라고 했다.그렇다면 리눅스에는 종류에 파일이 존재한다는 것인데 이것을 어떻게 관리할까? 심지어 내가 알기로는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소켓도 파일인데,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파일들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관리할 수 있을까? 정답은 각 파일 종류별로 지원하는 파일 시스템은 다르다는 것이다. 그럼 리눅스에서 파일 실행 시 어떻게 딱 맞는 파일 시스템..

리눅스를 배울 때 한번쯤은 듣는 말이 "리눅스의 모든 것은 파일"이라는 것이다.필자도 듣기로는 자주 들었지만, 실제로 어떤 의미인지는 잘 와닫지 않았다.그냥 "리눅스에서 파일이 자주 쓰인다" 정도로만 이해하고 넘어간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위에서 한 말은 사실 리눅스를 한 문장으로 요약한 말이나 다름이 없다."리눅스에서 모든 것이 파일이다"는 것은 어떤 비유나 은유가 아니다. 실제로 모든 것이 파일로 저장되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리눅스 기본 디렉터리 구조"리눅스에서 모든 것이 파일이다" 이라는 리눅스의 기본 디렉터리 구조를 이해하면 확실히 알 수있다. 위 그림은 우리가 root에서 흔히 ls 명령어로 볼 수 있는 리눅스의 디렉터리들이다.평소에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저 디렉터리들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