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란? 다른 언어의 class와 같은 설계도 역할을 수행. 하나의 변수에 여러가지 정보가 담겨있을 때 적합한 자료구조. 공통적인 속성을 가진 데이터 집합. 입력해야 하는 데이터의 종류는 동일하지만 값은 각자 다른 때 사용. 키(key)와 값(value)의 쌍으로 구성된다. 중괄호로 묶이며 키와 값은 : 으로 구분, 키-값 쌍, 로 구분. 호출할때는 내장함수처럼 변수명.키 으로 사용. 아니면 변수['키']으로 배열처럼 키을 인덱스로 사용가능.그냥 변수[키]으로 하면 오류 발생 변수['키']을 브라켓 로테이션이라고 하며 키값이 동적일 때, 즉 들어가는 키가 자주 바뀔 때 사용. 주로 매개변수로 키값을 받을 때 키 대신 매개변수를 넣어서 변수[매개변수]로 사용. let char1={ name:lee, age..
배열이란? 순서가 있는 값들의 집합. 자바스크립트 타입 중 하나 배열안의 값들은 요소(element). 그 요소들의 순서가 인덱스(index) 인덱스는 1아닌 0부터 시작하여 번호를 매김 [ ]를 이용해 정의 하고 쉼표로 구분, 문자열이면 " "로 각 요소를 감싼다 대괄호에 인덱스 를 넣으면 해당 인덱스의 위치하는 요소를 확인,변경가능. let numbers=[1,2,3,4,5,6]; console.log(numbers[3]); //4 numbers[3]=2 console.log(numbers[3]); //2 let strings=['a','ac','b','c']; 인덱스의 범위를 넘으면 undefind를 출력 배열안에 배열이 들어있는 이중 배열 가능. 문자열 배열은 기본적으로 이중배열. let stri..
함수란? 함수외부에서 인자를 입력하여 호출하면 실행결과를 반환하는 과정의 묶음. 함수 내부에 있는 코드는 함수를 호출 했을 때만 실행 한번 함수를 정의하면 필요할 때마다 호출만 하면 사용 가능하기에 효율적. 선언식과 표현식이라는 두 가지 방법으로 정의가능 function declared () { console.log('함수선언문'); } declared ()// 호출 let greeting = function () { console.log('함수 표현식') }; greeting()//호출 매개변수와 전달인자 매개변수는 함수 호출시 인자를 통해 값을 넘겨받아 함수 안에서 변수로 사용한다. function greeting (name) { console.log('hello ' + name); } greetin..
for문 가장 많이 쓰이는 반복문 초기값; 조건식; 증감식으로 구성 초기값은 반복횟수를 카운트 하는 역할을 수행. 초기값을 변수 선언할 수 있지만, 선언된 변수는 for문안에서 만 유효 조건식은 반복문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 초기값을 비교하는 경우가 많음.주어진 조건식이 true일 때만 반복문을 진행 증감식은 초기값의 변수 증가와 감소를 위한 표현식. i++형식으로 사용. i--같은 형태도 가능 for문의 작동과정은 조건식이 true이면 코드 실행후 증감식 실행, 다시 조건식이 true면 반복, false면 종료한다 반복문안에 if문을 사용해 초기값이 홀수 혹은 짝수에서만 출력하는 반복문을 만들 수도 있다. for(let i=0;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