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변수란?
- 특정 데이터에 붙이는 이름
- 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에 공간을 할당받고, 메모리에 저장된변수의 값을 변경하면 그 변수가 사용되는 코드의 결과를 일괄적으로 변경할수 있다.
- 할당되지 않은 변수는 undefined가 자동으로 할당.
- 변수에 숫자 타입의 값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숫자 타입에 사용 가능한 모든 연산이 가능.
let num = 3;
console.log(num * 1); //3
console.log(num * 2); //6
num = 4;
console.log(num * 1); //4
console.log(num * 2); //8
변수의 선언
- js에서 변수 선언은 let과 const,var를 사용한다
- let: 이미 선언된 변수에 새로운 값을 할당하는 재할당 가능
let num = 3;
console.log(num ); //3
num = 4;
console.log(num ); //4
- const:재할당이 불가능한 변수 선언. 불변값인 상수를 정의 할 때 사용
const num = 3;
console.log(num ); //3
num = 4;//Uncaught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 var:let과 const이전에 사용되던 변수선언. 같은 이름의 변수를 재선언시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무조건 블록 스코프가 아닌 함수 스코프로 적용된다. 지금은 쓰이지 않음
var num = 3;
console.log(num); //3
var num = 4;
console.log(num); //4
네이밍 규칙
- 식별자는 특수문자를 제외한 문자, 숫자, 언더스코어(_), 달러 기호($)를 포함 가능
let name, $head, _score
- 단, 식별자는 특수문자를 제외한 문자, 언더스코어(_), 달러 기호($)로 시작해야 한다. 숫자로 시작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
- 예약어는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다. let, const, true, false, typeof등이 해당
- 변수명은 변수의 존재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의미를 명확히 표현하는 것이 권장. 이때 여러 단어를 띄어쓰기 없이 적고, 각 단어를 구분하기 위해 단어들의 첫번째 문자만 대문자로 바꾸는 카멜케이스 사. ex) YourName= your name
let a=2 //무었을 의미한는지 불명
let KickPower=200//발차기 위력을 나타냄을 한눈에 파악가능
템플릿 리터럴
- `(맥은 ~)을 사용하여 문자열 내부에 변수 삽입할 수 있는 기능.
- ${변수명}으로 사용.
- ` `으로 공백을 삽입하는 것도 가능
let course = 'SEB FE';
let cohort = 99;
let name = 'kimcoding';
console.log(`${course} ${cohort} ${name}`); // 'SEB FE 99 kimcoding'
let course = 'SEB FE';
let cohort = 99;
let name = 'kimcoding';
console.log(course + ' ' + cohort + ' ' + name);//SEB FE 99 kimcoding'
댓글